• (여행칼럼) 싸목싸목 지구별 여행-한국가사문학관
  • 인경숙/여행작가
  • 우리나라 가사문학의 산실, 담양에 있는 한국가사문학관이다. 

    국문학에 조예가 깊지 않은 분 들 일지라도 학창시절에 시험 보려고 공부했던 송강 정철, 면앙정 송순, 사미인곡 등등 새록새록 기억이 날 것이다. 

    가사문학은 고려 말에 발생하고 조선 초기 사대부 계층에 의해 확고한 문학 양식으로 자리잡아 전해 내려온 문학의 한 갈래이다. 

    율문 (律文)이면서도 서정, 서사, 교술의 다양한 성격을 지닌 문학 장르다. 

    형식 상 4 음보(3·4조)의 연속체인 율문이며, 내용 상 수필적 산문인 가사는 산문과 율문의 중간적 형태로 조선 조의 대표적인 문학 형식이라 할 수 있다. 

    갈래머리 여고시절 외웠던 기억도 난다. 

    조홍감이 고와도 보이 나니 반길 이 없어 서러워 하노라. 

    노계 박인로가 한음 이덕형 집에 가서 감을 대접 받고 읊은 것으로 전해 진다. 

    부모님에 대한 지극한 효성이 잘 나타나 있다. 

    며칠 전 100세 생신을 지내 신 어머니께 송구한 마음이 불현 듯 떠오른다. 

    불효녀를 언제까지나 이해만 하시는 어머니께 좀 더 다정다감한 딸이 될 것을 다짐한다. 

    제1.2.3 전시실을 감상하고 계단을 내려오는 데 갑자기 붓을 들어 가사 한 편을 써 내려가고 싶은 심정이 든다. 

    가사문학은 규방가사도 포함하고 있어 더욱 그런 마음이 들었다. 

    신축년 새해 100세를 살아 가시는 어머니께 더욱 강녕하시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아 규방가사 형식을 빌어서 붓 글씨로 단정하게 써 내려가고 싶다. 

    그리고 시집 간 딸 들에게 붓으로 편지를 한 통 보내 볼까 나 하는 생각이 든다. 

    허난설헌의 규원가 앞에서 그런 마음을 품고 음력 정월이 다 가기 전에 실행해 보기로 한다. 

    한국가사문학관 다녀온 기념으로.
  • 글쓴날 : [21-01-11 10:09]
    • 데일리호남 기자[truth116@daum.net]
    • 다른기사보기 데일리호남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