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룡의 해…용(龍)관련 지명 순천이 최다
  • 전국 25%로 전남이 최다…전남에선 순천 34개 ‘최다’
    순천 34개 해남 24개 영암 21개 순…번영(繁榮) 상징
    순천 주암 ‘용두마을’ 영암 ‘용반마을’ ‘등용동’ 등등

  • 갑진년(甲辰年) 청룡의 해를 맞아 전국적으로 지명(地名)이나 마을 이름에 용(龍)이 관련된 곳은 25%로 가장 높았다. 또 전남에서는 34개로 가장 많았다. (전남도 제공) 


    갑진년(甲辰年) 청룡의 해를 맞아 전국적으로 지명(地名)이나 마을 이름에 용(龍)이 관련된 곳은 전남이 310곳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1천261곳 중 전남은 25%를 차지했다.

    또 전남 22개 시군 중에선 순천시가 34개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해남 24개, 영암 21개, 무안 21개, 나주 20개 순이었다. 용(龍)과 관련된 지명은 주로 용 모양이나 승천하는 전설과 관련된 지명이 많았다.

    용 머리를 닮았다는 순천 주암면 용두마을, 광양 용머리공원, 마을 뒷산의 형태가 용 꼬리를 닮았다는 영암 금정면 용반마을, 용이 승천하는 모습을 닮았다는 담양 등용동, 화순의 용강마을, 장흥 소용동마을 등이 있다.

    남악에 위치한 전남도청도 다섯 마리의 용이 구슬을 다루고 있는 형국인 오룡산 자락에 있다.

    청룡과 관련된 보성의 상청룡 마을은 800여 년 전 마을 앞 연못에서 청룡이 승천했다고 전해진다. 무안의 청룡마을은 마을 산에 청룡형의 명당자리가 있다. 

    십이지(十二支) 중 진(辰)은 유일하게 상상 속 동물인 비와 구름을 관장하는 영수(靈獸)로 다산과 농경사회의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왔다. 청룡은 힘과 행운, 번영을 상징, 황제와 지배층 등 왕실 예복에 자주 새겨졌다.

    용(龍) 지명은 산이나 골짜기 등 자연 지명보다는 마을 이름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마을 명을 짓거나 부를 때 용의 기운과 행운을 바라는 마음이 간절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 글쓴날 : [24-01-03 00:56]
    • 다른기사보기 서한초 기자의 다른기사보기